【메트로타임즈】 경기 광명시(시장 박승원)는 신안산선 복선전철 지하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구조물 파손 사고와 관련해 11일 새벽부터 해당 구간 도로를 전면 통제하고 긴급 대응에 나섰다. 공사장 구조물 일부가 심각하게 훼손되어 터널 붕괴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시는 즉각 도로 통제와 노선버스 우회 조치를 시행했다.
사고가 발생한 구간은 일직동 372-12 일원 5-2공구 본선 5번 환기구 부근 터널 굴착 구간으로, 민간투자사업으로 진행 중인 신안산선 복선전철 공사 현장이다. 사고는 10일 밤 9시 50분경 발생했지만, 광명시는 약 2시간 뒤인 밤 11시 49분에서야 통보를 받았다. 이 같은 늦은 사고 보고와 조치 지연은 시민 안전에 심각한 허점을 노출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광명시는 현재 오리로 양지사거리~호현삼거리 약 2km 전 구간 양방향 통제에 들어갔으며, 화영운수, 삼영운수, 경원여객 등 4개 노선버스를 긴급 우회 운행 중이다. 이에 따라 광명역푸르지오, 빛가온초, 호현마을, 충훈2교 등 주요 정류장이 일시 미운영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임시 정류장 설치와 일부 통제로의 전환도 검토 중”이라며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한 대책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공사 관리 주체인 국토교통부와 민간사업자 간의 안전 점검 부실과 사고 대응 매뉴얼 부재에 대한 비판이 제기된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11일 현장을 직접 방문해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신속하고 철저하게 대응하겠다”며 “시민이 참여하는 ‘시민 안전 대책반’을 구성하여 사전 예방 시스템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고는 민간투자사업의 안전 관리 문제가 또다시 도마에 오른 사례로,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신안산선 공사의 구조적 안정성에 대한 철저한 재점검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터널 붕괴는 대형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단순 보수나 복구에 그칠 문제가 아니라 사업 전반의 안전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한편, 시와 경찰, 국토교통부 등 관계 기관은 현재 위험 구간에 대한 정밀 안전 점검을 진행 중이며, 추가 붕괴 위험이 확인될 경우 장기 통제 조치로 전환될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