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인공지능-바이오 송도 컨퍼런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7일 송도 경원재바이워커힐에서 열린 ‘2025 인공지능-바이오 송도 컨퍼런스(2025 AI-Bio Conference in Songdo)’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AI 기반 신약개발과 정밀의료 혁신’을 주제로 세계적인 연구기관과 대학, 글로벌 기업들이 참여해 AI와 바이오 융합이 이끌 미래산업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윤원석 인천경제청장은 개회식 환영사에서 “AI와 바이오가 만나는 혁신의 무대를 통해 송도를 글로벌 AI-Bio 허브로 육성하겠다”며, “이번 컨퍼런스는 인천이 글로벌 AI-Bio 중심도시로 도약하는 출발점이자, 향후 AI 기술이 스마트제조와 항공우주 산업 혁신으로 확장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국내외 석학, 연구자, 기업인 등 240여 명이 참석, 송도가 산학협력 생태계의 핵심축이자 글로벌 혁신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참석자들은 “인천경제자유구역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AI-Bio 비전이 한국 바이오 산업의 미래를 여는 촉매제가 될 것”이라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 날 컨퍼런스에서는 AI 기술이 생명과학·의료·제조 분야에 융합되는 글로벌 흐름을 조망하며, 인천경제자유구역이 ‘AI-Bio 글로벌 혁신 수도’로 도약하는 비전을 구체화했다.
특히 송도국제도시가 이미 세계 최대 수준의 바이오 생산능력과 연구 인프라를 갖춘 ‘바이오산업의 메카’로 성장한 만큼, 이번 행사를 계기로 AI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바이오산업의 혁신을 선도하고, 글로벌 AI-Bio 산업의 중심지로 발전하겠다는 전략적 방향을 제시했다.
인천경제청은 단순한 기술 교류를 넘어 산·학·연 협력 클러스터이자 글로벌 인재양성 플랫폼 등으로 확장되는 AI-Bio 생태계의 핵심 거점으로 역할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행사는 엔비디아의 사드 나딤(Saad Nadeem) 박사(엔비디아의 의료 플랫폼, 모나이 자문위원, MONAI)의 기조 강연으로 막을 열었다.
이어 밴더빌트대학교 의과대학 황태현 교수(Molecular AI Initiative 창립 디렉터)가 ‘AI 기반 3D·4D 분자 모델링’을 주제로 신약개발 혁신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케임브리지대학교 한남식 교수, 하버드대학교·MD앤더슨 암센터 앤드류 송(Andrew Song) 박사, 오리건보건과학대학교 장영환 박사 등 세계적 석학들이 연단에 올라 최신 AI-Bio 연구성과를 공유했다.
국내 세션에서는 LG AI 리서치와 베르티스(Bertis), 브이픽스 메디컬(VPIX Medical), 메테르 바이오테크(Meteor Biotech), 토모큐브(Tomocube) 등 주요 기업이 AI 기반 정밀진단과 단백체 분석, 스마트바이오센싱 기술을 소개했다.
오후 세션에서는 IFEZ–글로벌 세션이 열려 배정융 KIC 실리콘밸리 센터장, 장지영 럿거스대학교 교수, 리시연 스탠포드 대학교 박사 등이 케이-바이오엑스(K-BioX)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스타트업 협력 및 해외 네트워크 전략을 논의했다.
이어 국내 대학생과 신진 연구자들이 해외 석학들과 멘토링을 진행하며 차세대 AI-Bio 인재 양성의 장을 마련했다.
손혜영 인천경제청 혁신성장도시과장은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인천경제자유구역은 AI-Bio 분야의 국제협력 모델을 구체화하고, 지역 혁신 주체들이 함께 성장하는 ‘혁신성장 생태계’를 본격 추진할 것”이라며, “추후 글로벌 인재양성, 기술사업화, 창업지원 등 실행 가능한 협력 플랫폼을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