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물김 연구 최종보고회
민물김 연구 최종보고회

삼척시의 특화 자원인 ‘민물김’이 갱년기 건강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입증됐다.

삼척시 수산자원센터는 11월 24일, 성균관대학교 조재열 교수팀과 공동으로 진행한 ‘민물김 추출물의 건강 증진 및 갱년기 개선 효과 연구’ 최종 보고회를 갖고, 민물김이 갱년기 증상 완화, 뼈와 근육 건강 개선, 면역 증진에 효능이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난소를 절제하여 갱년기 상태를 유도한 실험 쥐 모델을 활용해 2025년 한 해 동안 효능 평가를 진행했다. 그 결과, 민물김 추출물을 섭취한 집단에서 갱년기의 대표적 호르몬 불균형 증상인 난포자극호르몬(FSH)과 황체형성호르몬(LH) 수치의 비정상적인 증가가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갱년기 여성의 주요 고민 중 하나인 급격한 체중 증가 현상도 유의미하게 억제됐다.

특히 노년기 삶의 질을 좌우하는 뼈와 근육 건강에서도 뚜렷한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3D 정밀 촬영(Micro-CT) 분석 결과, 민물김 추출물은 난소 절제로 인해 감소했던 골밀도를 회복시켰으며, 근육 섬유화(노화)를 억제하여 근기능 저하를 막는 것으로 밝혀졌다.

면역학적 측면에서도 성과는 두드러졌다. 갱년기에 발생하는 면역세포의 불균형을 정상 수준으로 조절하여 면역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러한 효과가 체내 ‘AP-1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발휘된다는 구체적인 작용 기전(Mechanism)까지 규명해 냈다.

장기간 섭취에 따른 안전성도 확보했다. 실험 기간 간 수치(AST, ALT) 변화 등을 관찰한 결과 독성 반응이 나타나지 않아, 민물김이 식용 소재로서 안전함을 확인했다.

삼척시는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민물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장애 예방용 조성물’과 ‘뼈 건강 개선용 조성물’ 등 2건의 특허 출원을 마쳤으며, 근기능 개선 관련 특허도 출원할 예정이다. 관련 논문은 2026년 1월 중 완료될 예정이다.

한편, 삼척시는 2026년부터 민물김의 산업화와 보전을 위한 후속 연구에 돌입한다. 일본 민물김 등 타지역 개체와의 유전적 차이를 규명해 삼척 민물김만의 고유성을 확립하는 ‘유전체 분석’과, 안정적인 원료 공급을 위한 ‘서식 환경 정밀 분석’을 추진하여 대량 생산(양식)의 기틀을 다질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삼척 민물김이 단순한 식재료를 넘어 고부가가치 헬스케어 소재로 활용될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라며 “앞으로도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삼척 민물김의 가치를 높이고, 관련 산업을 육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